-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ABCD
ABCD는 다른 패턴을 도출할 수 있는 기본 하모닉 패턴입니다. 총 세 가지 가격 변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AB와 CD는 "다리"라고 불리며 BC는 정정 또는 되돌림이라고 불립니다. AB와 CD는 크기가 거의 비슷합니다.
상승세 ABCD 패턴은 하향추세를 따르는데 이는 상승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하락세 ABCD 패턴은 상승추세 이후 생성되어 특정 레벨에 하락 반전이 있을 수 있다는 시그널을 보냅니다. 이 두 가지 ABCD 패턴을 트레이딩하는 방법은 다르지 않습니다. 패턴의 방향과 패턴이 예측한 시장의 움직임을 고려하면 되죠.
ABCD 패턴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그림의 세 패턴 모두 상승세입니다).
일반적인 ABCD 패턴의 경우, C는 AB의 61.8%~78.6%가 되어야 합니다(AB에 피보나치 되둘림을 사용하면 C는 61.8%에 가까워짐). D는 BC 피보나치 확장의 127.2~161.8%가 되어야 합니다.
C에서의 61.8% 되돌림은 BC의 161.8%를 예측하는 반면 C에서의 78.6% 되돌림은 BC의 127%를 예측합니다.
AB=CD라고 불리는 패턴도 있습니다. 이 패턴의 CD 길이는 AB 길이와 같습니다. 게다가 시장이 A에서 B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C에서 D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동일합니다. 결과적으로, AB와 CD의 각은 같습니다. 이 패턴은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트레이더 사이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세번째 종류는 CD가 AB 확장의 127.2%~161.8% 사이인 경우입니다. CD는 심지어 AB보다 2배(또는 그 이상) 이상 클 수 있습니다.실제로 C 이후 간격이나 C 근처의 큰 캔들스틱처럼 CD가 AB보다 훨씬 길어지는 것을 알리는 징조가 존재합니다.
ABCD 패턴 활용 방법
중요한 것은 시세가 D에 도달했을 때만 진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시세의 고점과 저점을 보여 주는 차트를 연구하세요. 이때 차트 변동을 알려 주는 지그재그 인디케이터를 이용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삽입 – 인디케이터 – 커스텀 – 지그재그)
시세가 AB와 BC를 형성하는지 지켜 보세요. 상승 ABCD인 경우 C는 A보다 낮아야 하며 B에서의 저점을 지난 중고점이 되어야 합니다. 이때 D는 B 아래의 새로운 저점이어야 합니다.
시장이 D점에 도달해도 서두르지 마세요. 몇 가지 테크닉을 이용해 가격이 확실히 상승 반전했는지(하락 ABCD인 경우는 하락 반전했는지) 확인하세요. 가장 좋은 테크닉은 반전 캔들스틱 패턴입니다. 이때 D점에서의 캔들 고점 또는 그 이상에 매수 주문을 설정하면 됩니다.
테이크 프로핏 레벨
이번에는 ABCD 패턴 트레이딩의 타겟 레벨을 알려드리겠습니다.
TP1: AD의 38.2% 되돌림
TP2: AD의 61.8% 되돌림
TP3: A좀
위 레벨에 다양한 테크니컬 분석 툴을 이용해 차트에서 도출한 지지선과 저항선을 함께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을 찾을 때는 꼭 상위 차트 주기를 이용하세요.
가격이 빠르게 TP1으로 이동했다면 TP2로도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천천히 TP1으로 이동했다면 TP1이 유일한 레벨일 수 있습니다.
AC=CD 패턴이 A를 넘어선 후 시장이 반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톱로스의 경우 딱히 추천드릴 게 없습니다. 스톱로스는 본인의 리스크 관리 규칙에 따라 설정하세요.
다음은 차트 상의 ABCD 패턴 예시입니다:
결론
차트 하나에도 여러 ABCD 패턴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트레이딩에 이용하려면 앞서 설명해드린 대로 하세요. 그리고 피보나치 툴은 꼭 올바른 방법대로 적용하고 알려드린 팁을 따르시기 바랍니다.
2022-05-17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트레이딩 봇의 구조
- 코딩 없이 트레이딩 봇 빌드하기
- MetaTrader 5에서 봇 트레이딩하는 법
- 알고리즘 트레이딩이란?
- 변형 지침
- 삼각형은 무엇인가요?
- 더블 쓰리와 트리플 쓰리 패턴
- 더블 지그재그
- 트레이딩의 지그재그 및 플랫 패턴
- 엘리엇 파동 이론의 절단파
- 이치모쿠
- 엔딩 다이고날 패턴
- 갭 트레이딩 방법
- 상승쐐기형 패턴(diagonal pattern)
- 울프 웨이브 패턴
- 쓰리 드라이브 패턴
- 샤크
- 버터플라이
- 크랩
- 박쥐
- 가틀리
- 하모닉 패턴
- Motive 및 조정파. 파동의 등급
- 엘리엇 파동 이론 소개
- 브레이크아웃 트레이딩을 하는 방법
- 외환 투자 뉴스
- 이익실현 주문을 하는 방법은?
- 리스크 관리
- 스탑로스 오더를 놓는 방법은?
- 기술적인 보조지표: 투자 다이버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