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
레벨업 보너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웹이나 모바일 환경의 FBS 개인 계정에서 레벨업 보너스 계정을 활성화하고 무료로 최대 $140를 받으세요.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시장 범위 지표는 트레이더가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테크니컬 분석 도구입니다. 시장의 방향을 결정하고 시장이 강세인지, 약세인지 또는 중립인지를 식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개 주요 시장 지수보다 먼저 방향을 전환하고 정점에서 잘 작동한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너비 지표의 특징 중 하나는 주식과 지수를 분석할 때 더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로 스윙과 장기 거래에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어떤 경우든, 시장 범위 지표는 자세히 살펴보면 좋습니다. 특히 널리 쓰이는 지표로 맥클레런 오실레이터(MO)가 있습니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란?
셔먼과 마리안 맥클렐런은 1969년에 맥클렐런 오실레이터를 고안했고 자신들의 저서 수익 패턴: 맥클렐런 오실레이터와 및 합계 지수에서 이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MO는 기술 분석에 사용되는 인기 시장 범위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표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의 전체 상승·하락 종목 수의 범위를 바탕으로 시장 범위를 분석합니다.
MO는 19일과 39일의 기간 동안 더 빠르고 느린 지수 이동평균(EMA)의 차이에 기반합니다. 이 지표는 양수와 음수 모두 취할 수 있습니다. 단기 평균(19일)이 장기 평균(39일)보다 높으면 지표 값이 양수이고 강세입니다. 반대로 단기 평균(19일)이 장기 평균(39일)보다 낮으면 지표는 음수가 되고 추세는 약세입니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계산 방법
계산법은 3단계로 나뉩니다.
- 먼저 진행 중인 문제 수와 감소 중인 문제 수에 대한 단순 평균을 계산합니다. 이는 19일 및 39일 EMA에 대한 전날 EMA 값입니다.
- 두 번째 단계는 이 글에서 더 자세히 언급한 공식을 사용하여 19일과 39일의 EMA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 마지막으로, 19일 EMA 값에서 39일 EMA를 빼면 됩니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의 공식
앞서 언급한 것처럼 MO를 계산하려면 19일 EMA에서 39일 EMA를 빼야 합니다. EMA는 진행 중인 이슈와 감소하는 이슈 간의 차이를 파악하여 계산합니다. 계산을 한 공식으로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상승 19일 EMA−하락)−(39일 EMA 상승−하락)
19일 EMA 계산 공식:
(오늘 상승s−하락)∗0.10+전날 EMA
39일 EMA 계산 공식:
(오늘 상승s−하락)∗0.05+전날 EMA
긴 주기와의 비교에 쓰이는 계산 공식:
(ANA 19일 EMA)−(ANA 39일 EMA)
ANA는 조정 순 상승을 뜻하며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승−하락
⎯⎯⎯⎯⎯⎯⎯⎯⎯⎯⎯⎯⎯⎯⎯⎯⎯
상승+하락
조정 공식의 19일 및 39일 EMA:
(현재일 ANA−전날 EMA∗0.10+전날 EMA
(현재일 ANA−전날 EMA)∗0.0.05+전날 EMA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를 이용한 트레이딩
대부분의 테크니컬 분석 지표와 마찬가지로 MO의 사용은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즉, 미래 가격을 예측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지표는 특정 매매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가장 인기 있는 형태는 강세 또는 약세 다이버전스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지표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이버전스가 발생합니다.
강세 다이버전스는 지수 가격이 약세로 움직이는 반면 지표는 강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락세가 끝났을 수도 있다는 경고입니다. 따라서 이는 롱 포지션이나 숏 포지션을 청산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약세 다이버전스는 지수가 강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지표는 약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승세가 끝났을 수도 있다는 경고입니다. 따라서 이는 롱 포지션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신호입니다.
MO는 여러 면에서 이동평균 수렴분산지표(MACD)와 유사합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애널리스트들과 트레이더들은 오실레이터가 양수일 때, 19일 EMA가 39일 EMA를 상회할 때, 상승이 하락보다 우세한 신호라고 봅니다. 오실레이터가 음수값으로 떨어지면 반대로 약세가 유리합니다.
MACD 지표와 마찬가지로, MO가 양수면, 시장이 강세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는 뜻입니다. 반면에 음수는 약세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시장이 반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는 만큼 주가와의 차이에 주목해야 합니다. 풀에 따라 더 높거나 더 낮거나 더 긴 이동 주기를 나타내는 버스트도 주목해야 합니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는 사용자 지정 지표이며 기본적으로 맥클레런 트레이딩 터미널에 통합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용 방법:
- 파일 다운로드: https://www.mql5.com/en/code/24352
- MetaTrader 5에 설치합니다
- 인디케이터 페이지를 열고 알파벳순 목록에서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를 찾습니다.
- 차트에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를 추가하세요.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트레이딩 전략
MO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전략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신호, 즉 제로선 교차에 기초할 수 있습니다. 오실레이터가 제로선을 아래에서 위로 넘으면 매수 포지션이 열립니다. 오실레이터가 제로선을 교차하면 매도 포지션이 열립니다.
또한 오실레이터에 고전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실레이터가 -70 값을 초과하면 매수합니다. 오실레이터가 +70 감소하면 매도합니다. 이 전략에 따르면, 시세가 이동 평균 이상일 때, 지표선이 제로선을 돌파할 때 매수 포지션이 열립니다. 이에 따라 시세가 이동 평균보다 낮을 때 매도 포지션이 열립니다.
맥클레런 인디케이터를 사용하면 모든 전략의 구현에서 예약가주문 및 스톱로스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결론
시장은 끊임없이 변동하기 때문에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는 다른 테크니컬 지표와 마찬가지로 계속 바뀝니다. 뉴욕 증권 거래소의 시장과 거래를 학습하기 위해 이 지표를 사용하기로 결정한다면, 조치를 취하기 전에 이 지표를 통한 정보의 진정한 가치를 살펴보세요. 대부분의 오실레이터와 마찬가지로 참과 거짓을 구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애널리스트는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다른 테크니컬 지표와 조합하여 MO를 사용하는 데 전문가가 됩니다.
2022-06-01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아룬 인디케이터 트레이딩 전략
- 통화 강도
- 차트 주기
- 렌코 차트
- 차트 유형
- 하이킨아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 양적완화 정책(QE)
- 피봇 포인트
- 이동평균: 추세를 찾는 간단한 방법
- 윌리엄%R 지표 (%R)
- 상대활력지수 RVI
- 모멘텀
- 강도지수
- 엔벨로프
- 강세와 약세 지수
- 변동성 ATR
- 중앙은행의 결정으로 어떻게 투자할까?
- CCI
- 표준편차
- 파라볼릭SAR
- 스토캐스틱
- RSI(상대강도지수)
-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 오실레이터
- ADX
- 볼린저 밴드
- 트랜드 지표들
- 기술적인 지표에 대한 소개
- 지지와 저항
- 추세
- 기술적 분석
- 중앙은행: 정책과 효과
- 근본적인 요인들
- 외환투자와 주식 트레이딩의 펀더멘털 분석
- 펀더멘털 분석 vs 테크니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