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
레벨업 보너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웹이나 모바일 환경의 FBS 개인 계정에서 레벨업 보너스 계정을 활성화하고 무료로 최대 $140를 받으세요.
표준편차
표준편차는 이동평균으로 시세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한 마디로 변동성 표시기인 것이죠.
사용 방법.
MetaTrader 인디케이터 세트에는 표준편차가 기본 설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삽입" - "인디케이터" - "추세"로 이동해 표준편차를 클릭하세요. 메뉴 이름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 일수는 20일이며 가격 설정은 '종가'(캔들별 종가)로 되어 있습니다. 기간을 늘리면 표준편차 라인은 훨씬 부드러워지고 극단적인 값을 보이는 경우가 크게 줄어듭니다. 반대로 기간을 줄이면 표준편차 라인은 극단적인 값을 너무 자주 터치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트레이딩 시그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거짓 신호도 증가합니다. 이를 피하려면 여러 경우를 시험해 보고 설정값을 알맞게 바꿔야 합니다. 그러면 거래 자산과 변동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0일이 가장 적절합니다.
해석 방법.
이동평균과 관련해 시세 변동 정도를 보여 주는 것이 바로 표준편차입니다. 그 값이 크면 변동성이 높은 장세이고 시세가 이동평균과 상대적으로 크게 출렁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값이 작으면 변동성이 낮고 시세가 이동평균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는 뜻입니다.
트레이더는 변동성이 자주 높아졌다가 낮아지며 시세는 항상 평균값에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 표준편차선이 높아지면 종가와 평균 종가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변동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표준편차 값이 극단적으로 높으면 장세가 곧 안정될 것이며 한동안 바닥을 다질 것이라는 뜻입니다.
- 표준편차선이 낮아지면 변동성이 낮고 시장이 잠잠하다는 뜻입니다(가격 안정). 극단적으로 낮으면 곧 시장이 움직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표준편차 현재값은 시세 변동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표준편차보다 큰 움직임은 평균보다 강도가 높거나 낮다는 것입니다.
표준편차는 볼린저 밴드와 같은 고급 인디케이터의 일부로 자주 사용됩니다. 볼린저 밴드의 경우 이동평균에서 2표준편차 위, 아래 설정되죠.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표준편차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고저점 선별(평균에서 크게 떨어져 변동성이 매우 큰 시세를 찾아야 함). 추세 내 진입 타이밍 선별(추세가 강하면 평균가에 진입할 수 있음. 즉, 표준편차가 낮을 때).박스권 장세에서 높은 표준편차로 시세가 갑자기 크게 변동하면 이러한 돌파를 이용해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결론.
표준편차는 절대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단순히 변동성이 높은지 낮은지 보여 줄 뿐이죠. 표준편차를 이용해 적절한 진입 타이밍을 계산하세요.
2022-01-31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 아룬 인디케이터 트레이딩 전략
- 차트 주기
- 렌코 차트
- 차트 유형
- 하이킨 아시
- 양적완화 정책
- 피봇 포인트
- 이동평균: 추세를 찾는 간단한 방법
- 윌리엄%R 지표 (%R)
- 상대활력지수 RVI
- 모멘텀
- 강도지수
- 엔벨로프
- 강세와 약세 지수
- 변동성 ATR
- 중앙은행의 결정으로 어떻게 투자할까?
- CCI
- 파라볼릭SAR
- 스토캐스틱
- RSI(상대강도지수)
-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 오실레이터
- ADX
- 볼린저 밴드
- 트랜드 지표들
- 기술적인 지표에 대한 소개
- 지지와 저항
- 추세
- 기술적 분석
- 중앙은행: 정책과 효과
- 근본적인 요인들
- 외환투자와 주식 트레이딩의 펀더멘털 분석
- 펀더멘털 분석 vs 테크니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