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트레이딩 봇의 구조
이전 강의를 들었다면 MetaTrader 5의 트레이딩 봇 종류를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또한 MT5에서 주요 알고리즘 트레이딩 도구가 위치한 곳과 설정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트레이딩 봇의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강의를 들으면 MQL5 코딩에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
트레이딩 봇의 구조
우선 Meta Editor 내 봇 구조를 살펴봅시다.
어려워 보이죠?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트레이딩 봇은 핵심 구조가 모두 같습니다.
트레이딩 봇에는 크게 4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설정
- OnIntIt
- OnDeinit
- OnTick
각 요소를 자세히 살펴봅시다.
설정
봇의 관리 정보가 위치한 곳입니다. 여기서 노트 작성, 변수 선언(고유 이름을 가진 다른 유형의 정보), 변화 목록 추적, 속성 권한 설정을 수행합니다.
위 스크린샷을 보면 설정 코드의 샘플을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봇의 구성, 봇의 주요 속성, EA에 특정 콘텐츠를 삽입하는 #include 명령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input 명령어에 주요 입력을 선언하기도 합니다.
OnInIt
두 번째 파트는 OnInit(OnInitiation)입니다. EA를 처음 시작할 때 실행됩니다.
이 파트에서는 프로그램 첫 실행 후 실행되는 명령을 담고 있습니다. 이 명령에 대해서는 다음 문서에서 알아보겠습니다.
OnDeInIt
EA 다음 섹션은 OnDeinitiation, 줄여서 OnDeInIt입니다. EA가 차단될 때 실행됩니다.
OnTick
EA에서 가장 재밌는 파트입니다. 틱에 업데이트되는 세 가지 주요 파트로 구성됩니다(시세에 대한 새 정보 포함). 바로 진입, 회수, 사이징입니다. 매매, 청산 시점을 알려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MetaTrader 5에서 새 틱이 생길 때마다 이 코드가 시작됩니다. 즉, 매수호가나 매도호가, 거래량이 변하는 경우 코드의 OnTick 섹션에도 영향을 줍니다.
위 스크린샷에서는 봇이 거래 처리 시간 등 여러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컴퓨터라면 코드 구조를 어떻게 잃을까요
우선 OnInit 섹션으로 가 섹션 내 모든 코드를 실행합니다. 전략에 필요한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할 것입니다. 이 섹션은 한 번만 실행됩니다.
이 섹션을 완료하면 OnTick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먼저, 회수되어야 하는 거래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후 진입할 수 있는 거래를 찾습니다. 끝으로, 크기 조정(사이징) 알고리즘을 통해 포지션 크기를 식별합니다.
EA를 끄면 OnDeInIt를 실행합니다. 이 옵션은 차트에서 그래픽을 제거하고 EA에 연결된 모든 것을 지웁니다.
정리
트레이딩 봇을 빌드하고 싶으면 그 구조를 철저히 파악해야 합니다. 다행히, 모든 봇은 구조가 비슷해 차근차근 빌드할 수 있습니다.
2022-04-04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코딩 없이 트레이딩 봇 빌드하기
- MetaTrader 5에서 봇 트레이딩하는 법
- 알고리즘 트레이딩이란?
- 트레이딩의 지그재그 및 플랫 패턴
- 엘리엇 파동 이론의 절단파
- 이치모쿠
- 갭 트레이딩 방법
- 상승쐐기형 패턴(diagonal pattern)
- 울프 웨이브 패턴
- 쓰리 드라이브 패턴
- 샤크
- 버터플라이
- 크랩
- 박쥐
- 가틀리
- ABCD
- 하모닉 패턴
- Motive 및 조정파. 파동의 등급
- 엘리엇 파동 이론 소개
- 브레이크아웃 트레이딩을 하는 방법
- 외환 투자 뉴스
- 이익실현 주문을 하는 방법은?
- 리스크 관리
- 스탑로스 오더를 놓는 방법은?
- 기술적인 보조지표: 투자 다이버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