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차트 주기
차트 주기는 트레이더가 시장을 살펴 볼 때 사용하는 기간입니다. MetaTrader는 다양한 차트 주기를 지원합니다. 특수 패널(보기 - 툴바 - 차트 주기)에서 확인하세요.
MT4에는 1분(M1)부터 월간(MN)까지 지원합니다.1분에서 30분까지는 작은 주기, 낮은 주기로 불리며 4시간에서 월간 차트까지는 큰 주기, 높은 주기로 불립니다. 1시간 차트는 그 중간에 위치합니다.
작은 주기를 선택하면 단기간의 시세 변동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분 차트를 보면 하루치 변동을 볼 수 있죠. 반대로 월간 차트를 고르면 지난 몇 년간의 시세 변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느 주기가 가장 좋을까?
어느 주기가 가장 좋은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정답은 없습니다. 본인의 트레이딩 스타일 과 투자하는 시간이 가장 중요하죠. 즉 매일 거래하고 스트레스에 강하다면 자잘한 투자 기회가 많은 작은 주기가 적합합니다. 반대의 경우에는 큰 주기를 선택하세요. 적합한 주기를 고르는 방법을 더 알고 싶다면 여기 를 참고하세요.
차트는 종류마다 다양한 시장 관점을 제공합니다.
작은 주기에서는 시세 변동을 상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 단위로 포지션을 오픈하는 스캘퍼에게 적합하죠.
더 큰 규모로 거래하고 싶다면 큰 주기를 선택하세요. 이렇게 하면 시장의 과거와 미래를 보다 큰 그림에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시세가 인트라데이 차트에서 무작위로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야 합니다. 바로 "마켓 노이즈"라고 하는 움직임이죠. 큰 주기에서는 노이즈를 걸러내 중요한 정보만 제공해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서 특정 전략은 특정 주기를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오늘은 시세를 다양한 주기에 따라 볼 수 있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참고로 다주기 분석을 사용하면 트레이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답니다.
다주기(Multitimeframe) 분석
최신 트레이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다양 차트 주기에 따른 시세 변동을 확인할 수 있고 주기를 빠르게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전문 트레이더들은 다양한 주기를 이용하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미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가장 고전적인 솔루션은 주기 3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보다 적으면 거짓 시그널을 걸러내지 못하고 이보다 많으면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너무 늘어나죠.
주기 세트를 고를 때는 포지션 홀딩 기간을 고려해 먼저 중간 주기를 선택하세요. 그 다음 작은 주기와 큰 주기를 각각 선택합니다. 중간 주기가 작은 주기보다 4배 더 크고 큰 주기보다 4배 더 작으면 좋습니다(예시: 4시간-1시간-15분).
주기를 선택했으니 이제 분석을 할 차례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순서에 따라 주기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먼저 큰 주기를 분석하고 이후 작은 주기를 분석하세요. 이렇게 하지 않으면 성공 가능성이 낳아지는 리스크가 생깁니다. 작은 주기에서의 시세 변동은 아무 쓸모없는 마켓 노이즈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큰 주기에서는 작은 주기의 시세 변동을 한번에 바꿔 버릴 수 있죠.
유명 트레이더인 알렉산더 엘더는 3개 주기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 - 큰 주기: 13 EMA와 MACD로 전반적인 추세 판별.
- - 중간 주기: 스토케스틱이나 기타 오실레이터로 역추세 조정이 끝나는 지점 확인.
- - 작은 주기: 예약가 주문(매수역지정가주문 또는 매도역지정가주문)을 트레일링해 주문. 주문은 큰 주기에서 확인한 주요 추세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중 스크린 전략이라고도 하는 이 전략을 구사하면 적중률이 높은 거래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주기는 다양한 신호를 발생하며 나머지 주기는 트레이더가 그중에서 가장 좋은 신호를 골라 정확한 시장 진입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주기 분석은 투자 시장에서 보편적인 분석법입니다. 따라서 스캘퍼이든 포지션 트레이더든 다양한 주기를 분석해 이득을 얻으세요.
2023-05-25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 아룬 인디케이터 트레이딩 전략
- 통화 강도
- 렌코 차트
- 차트 유형
- 하이킨아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 양적완화 정책(QE)
- 피봇 포인트
- 이동평균: 추세를 찾는 간단한 방법
- 윌리엄%R 지표 (%R)
- 상대활력지수 RVI
- 모멘텀
- 강도지수
- 엔벨로프
- 강세와 약세 지수
- 변동성 ATR
- 중앙은행의 결정으로 어떻게 투자할까?
- CCI
- 표준편차
- 파라볼릭SAR
- 스토케스틱 오실레이터로 거래하기
- RSI(상대강도지수)
-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 오실레이터
- ADX
- 볼린저 밴드
- 트랜드 지표들
- 기술적인 지표에 대한 소개
- 지지와 저항
- 추세
- 기술적 분석
- 중앙은행: 정책과 효과
- 근본적인 요인들
- 외환투자와 주식 트레이딩의 펀더멘털 분석
- 펀더멘털 분석 vs 테크니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