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BS >
  2. FBS 블로그 >
  3. 외환 거래의 역사
2023-05-05 • 업데이트됨

외환 거래의 역사

cover.png

요즘은 일정 사양의 PC와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만 있으면 누구나 외환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환 거래의 역사가 오래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실제로 외환 거래는 최초의 인류 문명이 화폐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다른 지역과 무역을 했던 고대부터 존재했습니다.

이 칼럼에서는 수 세기에 걸친 외환의 역사와 현대적인 외환 트레이딩의 등장을 살펴봅니다.

초창기

최초의 화폐인 셰켈은 약 5,000년 전 메소포타미아에서 발명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물물교환이 주로 사용되었죠. 동물 가죽, 소금, 향신료 같은 상품은 수요가 높았고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는 물물교환의 매개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기원전 700년경에 여러 나라에서 금으로 최초의 동전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금화로 인해 경제가 탄생하고 무역에 통일성과 표준화를 초래했습니다.

1228-03.png

최초의 외환 거래

이후 자체 화폐를 만들어 이웃 국가들과 무역하는 추세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오랫동안 외환거래를 전담하는 전문 기관을 따로 세우는 시도는 나타나지 않았죠. 그러던 17세기, 드디어 암스테르담에서 최초의 외환거래 시장이 탄생했습니다. 이 시장에서는 네덜란드와 영국의 통화가 거래되었고 이 덕분에 두 통화의 환율이 안정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외환거래 시장과 외환거래는 전 세계로 확산되었습니다.

금본위제의 흥망성쇠

시간이 지나며 금화와 은화가 일상적인 거래에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해졌습니다. 유통되는 금화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의 정부는 일정한 양의 금이나 은으로 교환할 수 있는 교환권인 지폐를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지폐는 법령에 따라 가치를 귀금속에 연동하지 않으면 본질적인 가치가 없습니다. 만약 지폐를 마음대로 발행하면 이 지폐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금본위제를 채택했습니다. 통화를 일정한 양의 금에 연동하여 통화 가치를 금에 연결시킨 것입니다. 예를 들어, 1온스의 금이 1,000달러이면 1달러의 가치는 1온스의 금 0.001과 같습니다. 이로 인해 지폐 발행량은 그 나라가 보유한 금 보유량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한 때문에 환율이 안정되고 통화 공급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외환의 경우, 화폐 가치의 금 연동으로 인해 각국의 통화가 보다 수월히 연결되었습니다. 각 통화마다 1온스의 금을 사는 데 필요한 금액이 달랐기 때문에 환율을 표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었죠.

19세기 말까지 금본위는 대부분의 산업 국가에서 사용되었습니다. 금본위제는 국제 무역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산업 혁명을 가속화시켰습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뒤 각 나라의 국고가 바닥이 나자 정부는 금 보유량을 무시하고 더 많은 화폐를 발행했습니다.

1930년대 말과 제2차 세계대전 사이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금본위제를 지속할 수 없다는 사실이 명백해졌습니다.

1228-02.png

국제 무역의 새로운 장을 연 브레튼 우즈 체제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이를 무렵, 참전국들은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1944년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파견된 대표들이 미국 브레튼우즈에서 회의를 열고 브레튼우즈 협정을 체결했습니다. 국제 금융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세계 경제 시스템의 토대가 마련된 것입니다.

브레튼 우즈 체제는 일부 금본위제 요소를 도입했지만 모든 나라가 이를 도입하지 않고 당시 금보유량이 가장 많은 나라였던 미국의 달러만 가치가 금에 고정되었습니다. 대신 미국을 제외한 43개국은 최대 1%의 편차로 자국 통화의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시켰습니다. 통화의 가치가 허용 범위를 이탈하면 해당 국가는 미국 달러를 사고 팔아 통화 가치를 조절해야 했죠.

브레튼 우즈 체제는 시장에 매우 중요했던 안정성을 제공했고 환율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미국 달러가 이 체제를 기반으로 기축통화가 되었습니다.

브레튼 우즈 체제는 수십 년간 이어지다가 1970년대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달러량이 미국이 보유한 금의 양을 초과하자 문제가 되었습니다. 1971년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달러의 금 교환을 일시 중단했고 마침내 1973년 브렌튼 우즈 체제를 종식시켰습니다.

자율변동체제

브레튼 우즈 체제가 끝난 뒤 환율은 금값에 의존하지 않고 자유롭게 변동되는 자율변동체제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체제는 법정 화폐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현재도 유효합니다

법정 화폐의 가치는 어떤 상품에도 의존하지 않고 정부가 발행하여 조절합니다. 자율변동체제에서 한 나라의 통화 가치는 그 나라의 안정성과 경제력에 따라 변화하면서 해당 통화의 공급 및 수요의 영향을 받아 결정됩니다.

금본위제가 폐지되었지만 현재 모든 국가가 자율변동체제를 도입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최근까지 위안화의 가치를 미국 달러에 고정시켰습니다 현재 중국은행은 위안화에 변동환율을 도입했지만 환율이 2% 이상 오르거나 당일 중위 환율의 2% 아래로 떨어지면 당국이 시장에 개입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율변동체제는 대다수의 국가가 도입하였으며 외환거래 시장에 더 많은 자유를 도입하였고 정부의 개입을 제한하고 안전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시대

인터넷은 전 세계 수십억 명 인구를 한데 모을 수 있는 현대 문명의 결실입니다. 디지털 환경이 마련되면서 중앙은행과 대형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개인도 외환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 온라인 트레이딩 플랫폼이 탄생하여 개미들 사이에서 외환거래 열풍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외환거래 시장의 참가자들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브로커를 통해 누구나 외환 거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외환거래는 상당한 역사를 자랑하며 그 기원은 고대 인류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많은 변화가 있은 후 외환거래는 이제 개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확산되었습니다. FBS를 통해 외환거래의 역사에 나만의 흔적을 남기세요!

  • 14

팀워크를 느끼세요

데이터 수집 안내

FBS는 본 웹 사이트 운영을 위해 귀하의 데이터 기록을 유지합니다. "동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귀하는 개인 정보 보호 정책 에 동의합니다.

돌아가기

매니저가 곧 전화할 것입니다

번호 바꾸기

당신의 문의사항이 접수되었습니다

매니저가 곧 전화할 것입니다

해당 전화번호는
후 다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긴급 상황 문의처:
라이브 채팅

내부 에러. 다시 시도 해주세요

시간 낭비하지 마세요. NFP가 USD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수익 내세요!

FX 초보자 가이드북

초보 외환투자자를 위한 가이드북만 있으면 트레이딩 입문도 어렵지 않습니다.

FX 초보자 가이드북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들
이메일을 입력하시면 외환 FX 초보자북을 무료 전송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메일로 특별한 링크를 전송했습니다.
e-mail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 링크를 클릭하고 무료로초보자들을 위한 외환 FX 초보자북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당신은 브라우저의 구버전을 사용 중입니다.

더 안전하고 편리하며 생산적인 투자 경험을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다른 것으로 시도해 주세요.

Safari Chrome Firefox Op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