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모멘텀
테크니컬 분석에는 추세 강도를 나타내는 "모멘텀"이라는 용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모멘텀은 다양한 지표(RSI,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MACD)로 측정할 수 있는데 지표마다 측정법과 공식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와 다른 새로운 지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름은 간단히 "모멘텀"이라 부르겠습니다.
모멘텀은 특정 기간 동안 한 자산의 시세가 얼마나 변했는지 측정하는 테크니컬 인디케이터입니다. 공식에서는 가장 최근 종가와 이전 종가응 비교하죠.
사용법.
모멘텀를 사용하려면 "삽입" - "인디케이터" - "오실레이터"를 클릭해 "모멘텀"을 선택하세요. 메뉴 이름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MT4에서 모멘텀은 초기 파라미터가 14로 설정되어 있지만 원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차트 주기에도 편하게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죠. 하지만 차트 주기가 짧아질수록 모멘텀의 민감성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긴 주기에 비해 짧은 주기에서는 거짓 시그널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사용법.
모멘텀 오실레이터는 중앙값이 100입니다. MetaTrader에서는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설정해야 하죠. 값이 100을 넘으면 매수세가 강함을, 반대로 100 미만이면 매도세가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모멘텀이 극도록 높은 점과 낮은점을 보이면(지난 값과 비교했을 경우) 현 상승세/하락세는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즉, 극도로 높은 모멘텀 값은 추세의 힘이 매우 강함을 뜻합니다.
한편 모멘텀을 이용하면 시장이 과매수인지 과매도인지도 할 수 있습니다. 하락장이 과매도 상태이면 시세가 곧 반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멘텀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면 매수 신호입니다. 상승장이 과매수 상태이면 시세가 곧 하락할 수 있습니다. 모멘텀이 정상을 찍고 하락하기 시작하면 매도 신호입니다. 모멘텀의 전환점을 좀 더 편하게 파악하고 싶다면 단기 이동평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MT4 "네비게이터" 패널의 추세 인디케이터에서 "이동평균"을 클릭해 모멘텀으로 드래그 앤 드랍 하세요. 창이 뜨면 "파라미터" 탭의 "적용(Apply to)" 드롭다운 메뉴에서 "첫 번째 인디케이터의 데이터"를 선택하세요.
모멘텀이 이동평균을 상승 교차하면 매수 신호이고 SMA를 하락 교차하면 매도 신호입니다. 이렇게 하면 시그널 타이밍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긴 주기에서 관찰 중인 추세와 일치하는 시그널을 선택하거나 다른 추세 지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장은 시세가 모멘텀 시그널을 확인하면 진입하세요. 모멘텀이 고점을 찍으면 시세가 떨어지기 기다렸다가 이후 매도하세요.
모멘텀은 시세보다 먼저 움직이는 경우가 잦습니다. 모멘텀과 시세의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으면 잠재 고점(모멘텀은 하락하는데 시세는 상승할 때) 또는 잠재 바닥(모멘텀은 상승하지만 것이 하락할 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결론
모멘텀 오실레이터를 이용하면 매수와 매도의 미묘한 변동을 잡아낼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신호를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죠. 물론 이 경우에는 반드시 시세 변동 시그널과 함께 이용하세요. 모멘텀을 다른 툴에서 나온 신호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2022-04-05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 아룬 인디케이터 트레이딩 전략
- 통화 강도
- 트레이딩 차트 주기
- 렌코 차트
- 차트 유형
- 하이킨아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 양적완화 정책(QE)
- 피봇 포인트
- 지그재그 인디케이터란 무엇인가요?
- 이동평균: 추세를 찾는 간단한 방법
- 윌리엄%R 지표 (%R)
- 상대활력지수(RVI)란 무엇인가요?
- 강도지수
- 엔벨로프 인디케이터란 무엇인가요?
- 강세와 약세 지수
- 변동성 ATR
- 중앙은행의 결정으로 어떻게 투자할까?
- CCI(상품채널지수)
- 표준편차
- 파라볼릭SAR
- 스토케스틱 오실레이터로 거래하기
- RSI(상대강도지수)
-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 오실레이터
- ADX 인디케이터: 효과적인 외환 추세 분석
- 볼린저 밴드
- 트랜드 지표들
- 기술적인 지표에 대한 소개
- 지지와 저항
- 추세
- 기술적 분석
- 중앙은행: 정책과 효과
- 근본적인 요인들
- 외환투자와 주식 트레이딩의 펀더멘털 분석
- 펀더멘털 분석 vs 테크니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