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강도지수
강도 지수란 무엇인가요?
강도 지수(FI)는 알렉산더 엘더가 개발한 테크니컬 지표입니다. 추세장에서 강세와 약세의 힘을 측정합니다. 창작자에 따르면 가격 변동의 세 가지 필수 요소인 시세, 방향 및 거래량에 기반합니다.
FI를 이용하면 추세를 확인하고 트레이딩 기회가 있는 반전을 식별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 칼럼에서는 강도 지수의 정의와 계산법, 구현 및 해석을 통한 트레이딩 활용법을 살펴봅니다. 또한 강도 지수를 현금 흐름 지수와 비교하고 그 한계를 검토해 봅니다.
강도 지수의 이해
강도 지수를 이해하려면 먼저 시세 변동과 거래량의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추세가 강세이면 거래량이 증가하지만 추세가 약하면 거래량이 감소합니다. 강도 지수는 현재 기간의 종가와 지난 기간의 종가, 같은 기간의 거래량을 비교해 추세의 강도를 측정합니다.
계산법
강도 지수의 공식은 간단합니다.
강도 지수 = (현재 종가 – 지난 종가) x 거래량
그 다음 지수이동평균을 결과 값에 적용하여 지표 창에 히스토그램과 선이 표시됩니다.
거래량 데이터의 이동 평균에 사용되는 기간을 조정하여 강도 지수를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간이 길수록 안정성이 높고 기간이 짧을수록 단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구현 방법
강도 지수는 MetaTrader의 기본 지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차트에 “삽입” – “인디케이터” – “오실레이터”를 클릭한 다음 “오실레이터”를 선택하고 강도 지수를 선택합니다.
강도 지수 해석법
현재 종가가 이전 종가보다 높으면 지수 값이 양수입니다. 지표가 상승하면 강세의 힘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종가가 이전 종가보다 낮으면 음수 값을 보이며 약세 강도를 나타냅니다. 결과적으로 FI가 제로선을 넘으면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강도 지수는 거래량 데이터로도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추세와 추세 모멘텀에 대해 더 나은 투자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강도 지수가 고점을 상승 경신하면 현재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FI가 저점을 하락 경신하면 하락세가 지속됩니다. FI가 저점을 상승 갱신하면 추세가 반전될 수 있습니다.
추세가 강하면 강도 지수가 급변동을 보입니다. 추세가 지속됨을 알리는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관성에 의해 시세가 바뀌면 FI는 약간만 움직입니다. 현재 가격이 상승하지만 지표는 상승하지 않으면 상승세가 약화됩니다.
아래에서는 강도 지수가 제공하는 다양한 신호를 나타냅니다. 이를 현명하게 활용하고 다른 툴로 확정하면 성공 투자의 밑거름이 될 수 있습니다.
FI의 상승 신호:
- 강도 지수가 상승세에서 고점 상승 경신(추세 지속).
- 강도 지수가 상승세에서 0 밑으로 하락(저점 매수).
- 강도 지수가 하락세에서 0 위로 돌파(주추세에 반하는 조정에 매수).
- 강도 지수가 MA를 위에서 교차(지수에 MA를 적용하는 경우).
- 발산(저점이 하락 갱신되지만 FI는 저점 상승 갱신).
FI의 하락 신호:
- 강도 지수가 저점 하락 갱신(추세 지속).
- 강도 지수가 하락세 동안 0 이상으로 상승(후퇴 매도).
- 강도 지수가 상승세에서 0 밑으로 하락(주추세에 반하는 반전에 매도).
- 강도 지수가 MA를 밑에서 교차(지표에 MA를 적용하는 경우).
- 발산(FI가 고점 하락 생신 시 시세가 고점이 상승).
강도 지수의 발산
강세와 약세 발산은 추세 방향의 잠재적인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고전적인 시그널은 오실레이터와 자주 관련됩니다. 강세 발산은 지표가 상승하는 동안 시세가 하락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약세가 지표에 의해 확정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강세의 반전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지표가 밑으로 이동하지만 시세가 상승할 때 약세 발산이 발생합니다. 이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펀더멘털이 약함을 나타내고 약세 반전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지표 확정은 강세와 약세의 발산을 해석하는 데 중요합니다. 발산은 비정상적인 신호를 보내지만 지표나 가격 차트에서 확정을 받아야 합니다. 강세 발산은 강도 지수가 양수로 이동하거나 가격 차트에서 저항이 발생하면 확정됩니다. 약세 발산은 강도 지수가 음수로 이동하거나 시세 차트에 지지 돌파가 발생하면 확정됩니다. 트레이더는 확정을 하기 위해 캔들, 이동평균 교차, 패턴 돌파와 같은 테크니컬 분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차트에서 강도 지수는 하루 차트 주기에 강세 발산을 형성했습니다. 모든 지표의 저점은 이전 저점보다 높지만 모든 지표의 저점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합니다. 트레이더는 최상의 진입 타이밍을 찾기 위해 잠재적인 추세 반전에 대한 두 번째 확정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시세의 저항 돌파와 이 돌파의 재시험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레이더는 가격이 해당 가격대를 성공적으로 재시험한 후 매수를 넣을 수 있습니다.
강도 지수 vs. 현금 흐름 지수(FI vs. MFI)
MFI(현금 흐름 지수)와 강도 지수는 시세와 거래량을 사용하여 추세 강도를 측정하고 잠재적인 반전을 식별합니다. 그러나 지표 계산 공식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MFI는 종가만 사용하는 대신 일반적인 가격(고점 + 저점 + 저점/3)을 통합한 복잡한 공식을 사용합니다. 또한, MFI 값은 0에서 100 범위로 제한됩니다. 강도 지수와 구별되는 공식과 확실한 범위 값으로 MFI는 강도 지수와 다른 저만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강도 지수의 한계
강도 지수는 이전 가격과 거래량 지표를 사용하여 EMA 평균을 계산하는 지연 지표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평균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트레이딩 시그널을 생성하는 속도가 느려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단기 강도 지수(예: 10, 13, 20)를 사용하면 경미한 가격 또는 거래량에 휩쓸려 수많은 거짓 신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장기 강도 지수(예: 50, 100, 150)는 변동 가능성이 낮지만 시세 변화에 천천히 반응하여 거래 시그널이 늦게 생성됩니다.
강도 지수 요약
결론적으로, 강도 지수는 가격과 거래량의 적절한 혼합 지수로 간주됩니다. FI는 트랜잭션 수에 해당하는 통화 트레이딩의 틱 볼륨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부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도 지수는 변동성이 큰 장에 적용했을 때 가장 적절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FAQ
강도 지수 지표란 무엇인가요?
강도 지수는 가격과 거래량을 함께 사용하여 추세 강도를 측정하고 잠재적인 가격 반전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오늘과 전일 종가를 비교하고 그 값에 현재의 거래량을 곱하여 가격 변동의 강도를 측정합니다.
2023-05-12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 아룬 인디케이터 트레이딩 전략
- 통화 강도
- 트레이딩 차트 주기
- 렌코 차트
- 차트 유형
- 하이킨아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 양적완화 정책(QE)
- 피봇 포인트
- 지그재그 인디케이터란 무엇인가요?
- 이동평균: 추세를 찾는 간단한 방법
- 윌리엄%R 지표 (%R)
- 상대활력지수(RVI)란 무엇인가요?
- 모멘텀
- 엔벨로프 인디케이터란 무엇인가요?
- 강세와 약세 지수
- 변동성 ATR
- 중앙은행의 결정으로 어떻게 투자할까?
- CCI(상품채널지수)
- 표준편차
- 파라볼릭SAR
- 스토케스틱 오실레이터로 거래하기
- RSI(상대강도지수)
-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 오실레이터
- ADX 인디케이터: 효과적인 외환 추세 분석
- 볼린저 밴드
- 트랜드 지표들
- 기술적인 지표에 대한 소개
- 지지와 저항
- 추세
- 기술적 분석
- 중앙은행: 정책과 효과
- 근본적인 요인들
- 외환투자와 주식 트레이딩의 펀더멘털 분석
- 펀더멘털 분석 vs 테크니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