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BS 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
FBS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계정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트레이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필 인증을 잊지 마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원을 인증하세요. 인증을 통해 투자금과 계좌의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든 확인이 끝나면 원하는 트레이딩 플랫폼에 접속해 투자를 시작하세요.
-
투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FBS에 가입하고 외환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자산이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공부하면 본격적으로 트레이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BS가 제공하는 무료 교육 자료와 FBS 계좌 개설법을 보며 기초를 익히세요. 모의투자에서 가상 자금으로 연습하는 것도 좋습니다. 완전히 준비되면 실전 시장으로 옮겨 트레이딩하세요.
-
FBS에서 번 돈은 어떻게 인출하나요?
절차는 굉장히 직관적입니다. FBS 웹사이트의 인출 페이지나 개인계정의 금융 섹션에서 인출 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여기서 입금에 사용한 결제 서비스로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로 입금했다면 입금액 비례별로 인출하면 됩니다.
RSI(상대강도지수)
시장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지표 중 하나인 RSI는 1978년 월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가 가격 움직임의 속도와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하였습니다. RSI를 이용하면 시장의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저가 매수와 고가 매도에 유리합니다.
RSI 시행 방법
차트에 삽입하려면 "삽입" - "지표" - "오실레이터"로 이동해 "상대강도지수(RSI)"를 클릭하세요.
MetaTrader는 기본값으로 주기가 "14"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주기는 원하는 경우 변경할 수 있으며 보통 단기 투자의 경우 9로, 장기 투자의 경우에는 25로 설정합니다. 주기가 짧을수록 RSI의 변동폭이 증가합니다.
상대강도지수(RSI)해석 방법
수치는 0에서 100 사이로 나타납니다. 50에 중앙선을 설정해 RSI가 이 선을 넘으면 상승 모멘텀으로 해석되어 매수 기회로 간주됩니다. 반대로 50 아래로 쩔어지면 하락세 형성으로 해석되어 매도 주문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장이 과매수 혹은 과매도입니다
RSI은 다른 오실레이터와 마찬가지로 과매수 또는 과매도를 진단합니다. RSI가 70을 초과하면 해당 자산은 현재 과매수 상태이며 조정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고 30 미만이 되면 과매도 상태로, 시세가 상승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오래 지속하는 강한 추세장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강한 추세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있다면 하락세에서 RSI가 과매도인 경우 매도를 고려하고 상승세에서 RSI가 과매수인 경우 매수를 고려하세요.
대체로 RSI가 중요 레벨을 벗어날 때 추세 방향과 일치하는 신호는 신뢰도가 높습니다. 예를 들어 RSI가 30을 초과할 때 상승세가 펼쳐지면 매수를 취하는 게 좋습니다.
시장 반전
반대로 RSI와 시세의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시장 반전의 경고일 수 있습니다. 시세의 신고점이 RSI의 신고점과 일치하지 않으면 이는 부정적 신호인 하락 다이버전스입니다. 시세가 신저점을 기록했지만 RSI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승 다이버전스입니다.
RSI는 종종 MACD와 같은 다른 오실레이터와 함께 사용됩니다. RSI는 최근 고저점과 관련 있는 가격 변동을 측정하지만 MACD는 두 EMA 사이의 관계를 측정합니다. 이 둘은 함께 사용될 때 강력한 시너지를 발생시키죠.
결론.
실력 있는 트레이더라면 RSI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잘 알아야 합니다. 다른 테크니컬 지표와 가격 움직임에 대한 공부는 물론이고요. RSI가 장기 추세를 확인할 때 신뢰도가 가장 높다는 것 사실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3-05-25 • 업데이트됨
이 부분의 다른 기사
-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 아룬 인디케이터 트레이딩 전략
- 통화 강도
- 트레이딩 차트 주기
- 렌코 차트
- 차트 유형
- 하이킨아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 양적완화 정책(QE)
- 피봇 포인트
- 지그재그 인디케이터란 무엇인가요?
- 이동평균: 추세를 찾는 간단한 방법
- 윌리엄%R 지표 (%R)
- 상대활력지수(RVI)란 무엇인가요?
- 모멘텀
- 강도지수
- 엔벨로프 인디케이터란 무엇인가요?
- 강세와 약세 지수
- 변동성 ATR
- 중앙은행의 결정으로 어떻게 투자할까?
- CCI(상품채널지수)
- 표준편차
- 파라볼릭SAR
- 스토케스틱 오실레이터로 거래하기
-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 오실레이터
- ADX 인디케이터: 효과적인 외환 추세 분석
- 볼린저 밴드
- 트랜드 지표들
- 기술적인 지표에 대한 소개
- 지지와 저항
- 추세
- 기술적 분석
- 중앙은행: 정책과 효과
- 근본적인 요인들
- 외환투자와 주식 트레이딩의 펀더멘털 분석
- 펀더멘털 분석 vs 테크니컬 분석